야구 선수들의 계약 이야기가 들리는 스토브 리그가 되면 옵트 아웃이라는 계약 조항을 들을 때가 있습니다. 야구에서 옵트 아웃은 무슨 의미일까요? 한 번 알아보겠습니다.
옵트 아웃이란?
옵트 아웃이란 선수와 구단 간의 계약 조항 중 하나인데요. 기준 이상의 조건을 달성하게 되면 계약 기간이 아직 끝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프리 에이전트 즉 자유계약 선수가 될 수 있는 권리를 말합니다.
따라서 옵트 아웃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자유 계약 선수라는 제도에 대해서 알 필요가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프로 운동경기에서는 구단이 선수와 계약을 하면 일정 기간 다른 팀으로 이적할 수 없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유명 선수들의 계약금이 과도하게 오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그런 제도가 있는데요. 하지만, 구단 측에서 이러한 제도를 악용하게 되면 선수는 이적할 수 없다는 규정 때문에 구단 측에서 재계약을 하지 않으면 선수 생활을 마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선수들 입장에서는 매우 불리한 조항이었습니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마련된 조항이 바로 프리 에이전트(줄여서 FA) 즉 자유계약 선수제입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는 구단과 선수간의 계약에서 계약 기간이 정해지면, 그 기간이 끝나야 FA가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계약 시 옵트 아웃 조항을 넣으면, 선수는 더 빨리 FA를 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집니다. 그러려면 옵트 아웃 조항을 넣었을 때의 조건을 달성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류현진 선수가 2012년 LA 다저스와 계약을 체결할 당시에 기본 계약 기간은 6년이었습니다. 하지만 류현진 선수도 옵트 조항을 넣었는데요. 그 조건은 5년간 총 750이닝을 충족한다면 남은 1년은 연봉을 포기하고 FA가 될 수 있는 조건을 걸었습니다. 하지만 류현진 선수는 어깨 부상으로 두 시즌을 제대로 소화하지 못했기 때문에, 옵트 아웃 조항을 적용할 수는 없었습니다.
이렇게 야구 계약과 관련된 용어인 옵트 아웃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야구는 아는 만큼 보이고 또 그만큼 더 흥미로워지는 스포츠입니다. 이렇게 하나하나 알아가면서 야구를 더 즐기실 수 있겠습니다.
댓글